반응형 블록체인17 해시 함수는 무엇일까? 블록체인에서 해싱의 역할은 무엇일까? 💡해시 함수 본래 해시라는 것의 어원은 고기와 감자를 잘게 다져서 섞어 만든 요리이다. 우리가 잘 아는 해시 브라운도 감자를 잘게 다져서 튀김 음식이다. 어원이 이렇듯, 해시 함수도 원본 데이터를 잘게 조각내어 원본을 알아볼 수 없게 된다. 알고 있는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가 한 세트인 '원본 보존이 가능한' 암호화였다면 해시 함수는 한 번 해싱했다면, 그 해싱된 값을 통해 입력값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단방향 암호라고 부른다. 해싱은 다양한 크기의 입력값을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으로 생성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해시 함수는 어떠한 크기의 입력이 들어와도 동일한 크기의 출력을 뱉는 함수이다. 원본이 조금이라도 바뀌어도 결괏값이 전혀 달라지며, 출력값을 통해 입력값을 유추할 수 없다. 오늘.. 2022. 6. 21. 퍼블릭 블록체인의 토큰 이코노미,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토큰 시스템 💡 체인의 공개 형태에 따른 토큰 시스템 토큰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발행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에서 자체 발행하는 코인과 무관하게 토큰 그 자체로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토큰ㅇ르 통해 생성된 생태계는 네트워크 위에 있기 때문에, 어떤 블록체인에 올라가 있는지에 따라 토큰 이코노미의 형태도 달라진다. 즉, 토큰 이코노미는 자신이 속해 있는 블록체인의 성격에 따라 그 모습이 조금씩 달라진다. ✓ 퍼블릭 블록체인의 토큰 이코노미 블록체인에 새로운 생태계를 구성한다는 것은 기존 코인을 가지고 새로운 합의 알고리즘을 추가하거나, 기존 블록체인과는 다른 형태의 수액분배 모델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로 블록체인 내에 새로운 생태계를 만드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비.. 2022. 6. 20. 토큰 이코노미? 크립토 이코노미? 블록체인 토큰 이코노미를 설계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은? 💡 토큰 이코노미 ✓ 심리학에서의 토큰 이코노미 원래 토큰 이코노미는 행동 심리학에서 나온 용어이다. 위키피디아에서는 토큰 이코노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토큰 이코노미는 특정 행동의 시스템적인 강화를 기반으로 둔 우발성 관리 시스템입니다. 강화제는 다른 강화제와 교환할 수 있는 상징 또는 토큰 입니다. 토큰 이코노미는 자발적인 훈련의 원칙과 행동 경제에 기반하고 있으며, 응용 행동 분석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토큰 이코노미는 어떠한 행동을 끌어내기 위해 토큰을 보수로 주고 그 토큰의 유/무형 가치와 교환됨으로써 그 행동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 토큰 이코노미의 3요소 토큰, 강화제, 특정 목표 행동 아래 내용에 빗대어 토큰 이코노미를 이해해보자. 수학을 싫어하는 학생 김코딩 김코딩은 다.. 2022. 6. 17. 블로체인 안에서의 거버넌스와 크립트 이코노미 💡블록체인 거버넌스 거버넌스(governance) 는 일반적으로 과거의 일방적인 정부 주도적 경향에서 벗어나 정부, 기업, 비정부기구 등 다양한 행위자가 공동의 관심사에 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문제를 히결하는 새로운 국정운영의 방식을 뜻한다. 블록체인에서의 거버넌스는 프로젝트의 주요 의사결정을 창립한 구성원들이 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프로젝트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가 투표로 안건을 채택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마치 주식회사의 주주총회에서 안건에 대한 의결을 진행하는 것과 비슷하다. 블록체인 거버넌스는 유동성 풀의 보상 변동, 플랫폼과 부과 비용 설정 등의 일을 하고 있다. ✓ 거버넌스의 필요성 - 이해 관계 조정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기존의 네트워크와 달리 통제 없이 모든 사람이 연결할 수 있고,.. 2022. 6. 17.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블록체인의 차이점 그리고 분산원장이란?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블록체인의 차이점 1. 악의적인 사용자를 전제하고 만들어진 시스템 (합의 알고리즘) 2. 운영 주체가 사라져도 시스템 유지 가능 (거버넌스) 분산 데이터베이스도 데이터를 분산시켜 저장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특별히 악의적인 사용자를 전제하지는 않는다. 이는 해당 개념이 나온 배경이 일반적으로 재해 복구, 백업, 성능상의 이점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블록체인의 경우는 태초부터 악의적인 사용자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하고, 새로운 블록의 순서와 자격을 결정하는 과정을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해결한다. 이러한 합의 과정을 통해 악의적인 사용자를 방지한다는 점이 기술적으로 가장 큰 차이인 것이다. 분산 데이터베이스도 특정 기업, 단체에 종속되기 때문에 중앙화된 운영 주체의 정책.. 2022. 6. 16.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