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해시함수2 Keccak256의 작동 원리 🔐 KECCAK256이더리움에서 사용되는 암호화 해시 함수데이터를 256비트(32 바이트) 의 고정 길이 해시값으로 변환하는 해시 함수입력이 조금만 변경되어도 결과 값은 크게 달라지며,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 가능 Keccak256 의 작동 원리Keccak256 은 Sponge 구조를 기반으로 하며, 이 구조는 absorb 와 squeeae 두 단계로 나뉜다.Absorb Phase상태 초기화keccak 의 내부 상태는 1600 비트(200 바이트)로 초기화 된다. 이 상태는 5x5 배열의 64비트(8바이트) 블록으로 나뉨.데이터 블록 처리입력 데이터를 1088 비트(136 바이트) 크기의 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을 내부 상태와 XOR 연산으로 결합.결합된 상태를 특정 라운드 함수를 통해 반복.. 2024. 5. 23. 해시 함수는 무엇일까? 블록체인에서 해싱의 역할은 무엇일까? 💡해시 함수 본래 해시라는 것의 어원은 고기와 감자를 잘게 다져서 섞어 만든 요리이다. 우리가 잘 아는 해시 브라운도 감자를 잘게 다져서 튀김 음식이다. 어원이 이렇듯, 해시 함수도 원본 데이터를 잘게 조각내어 원본을 알아볼 수 없게 된다. 알고 있는 암호화는 암호화와 복호화가 한 세트인 '원본 보존이 가능한' 암호화였다면 해시 함수는 한 번 해싱했다면, 그 해싱된 값을 통해 입력값을 유추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단방향 암호라고 부른다. 해싱은 다양한 크기의 입력값을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으로 생성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해시 함수는 어떠한 크기의 입력이 들어와도 동일한 크기의 출력을 뱉는 함수이다. 원본이 조금이라도 바뀌어도 결괏값이 전혀 달라지며, 출력값을 통해 입력값을 유추할 수 없다. 오늘.. 2022. 6. 2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