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aytnscope
Klaytnscope는 클레이튼 네트워크의 블록 탐색기이다. 이더리움에서는 이더스캔을 사용하여 블록, 트랜잭션, 주소를 검색할 수 있듯이, 클레이튼 네트워크에서는 Klaytnscope 를 사용하여 트랜잭션, 블록, 주소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Klaytnscope는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클레이튼 네트워크에 대한 다양한 통계를 제공한다.
Klaytnscope
Klaytnscope allows you to find data by monitoring network health and statistics of Klaytn as well as profiling blocks and transactions on Klaytn.
scope.klaytn.com
✓ 대시보드
네트워크 정보는 대시보드에 나타낸다. 대시보드에는 평균 블록 생성 시간, 평균 블록 내 트랜잭션 갯수, 컨센서스 노드 갯수 등을 표시한다.
- Block Height: 마지막 블록의 높이. 제니시스부터 얼마나 많은 블록이 만들어졌는지를 보여준다.
- Network Performance: 클레이튼 네트워크 퍼포먼스를 4개의 지표로 보여준다.
* Consensus Nodes: 위 그림에서는 4개의 노드가 컨센서스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 Avg Block Time (1 Hour ): 지난 한 시간 동안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을 보여준다.
* Avg Bock Time (24 Hours): 지난 24시간 동안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을 보여준다.
* Avg Tx Per Block (24 Hours): 지난 24시간 동안 하나의 블록에 들어가있는 트랜잭션의 평균 개수
- Transaction History (14 days): 지난 14일간 일어간 일어날 일일 트랜잭션 수 그래프. 최근 2주간 트랜잭션 추이를 알 수 있다.
✓ Block & Transactions
Recent Blocks와 Recent Transactions에는 최근에 생성된 블록과 트랜잭션이 표시된다.
✓ Network 상태 & Network 선택
대시보드 오른쪽 위에는 네트워크 상태 인디케이터와 네트워크 선택 드롭다운이 있다.
- 네트워크 상태 인디케이터
> Network is healty: Klaytnscope 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네트워크 상태는 일반적인 상태이다.
> Data Latency: Klaytnscope가 시스템 정비를 하고 있다. 데이터가 지연되고 있는 상태이다.
> Data accurancy: Klaytnscope가 데이터를 동기화하고 있으며 기다려야 한다.
- 네트워크 선택 드롭다운
> 클레이튼에는 클레이튼이 거래되는 메인넷과 이더리움 테스트넷과 같이 실제 클레이튼이 거래되지는 않지만 트랜잭션을 만들고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바오밥 테스트넷이 있다.
✓ Blocks
최근 생성된 블록의 리스트가 있다.
- Block # : 블록의 고유 번호. 제네시스 블록부터 순서대로 버호가 붙는다. 누르면 해당 블록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Time : 블록 생성 경과 시간
- Total TXS : 블록에 들어있는 트랜잭션의 갯수
- Block Propser : 제안자의 주소. 클레이튼은 컨센서스 블록체인이기 때문에 제안 노드는 컨센서스 노드에 의해 무작위적이나 결정적으로 선택된다.
- Reward(Klay) : 컨소시움 노드와 제안자, KIR에게 지급되는 보상 비용. 블록이 생성될 때 민팅된 9.6 KLAY와 트랜잭션 실행 시 사용된 트랜잭션 수수료의 합이 보상 비용이 된다.
- Size(Byte) : 블록의 크기
블록 번호를 클릭하면 해당 블록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Transactions
최근 실행된 트랜잭션 리스트가 있다.
- TX Hash : 트랜잭션 해시값
- Block # : 트랜잭션이 속한 블록의 번호
- Time : 트랜잭션 실행 경과 시간
- From -> To : 트랜잭션 송신자와 수신자의 주소. 주소 옆에 파일 아이콘이 있는 경우, 해당 주소는 컨트랙트 주소이다.
- TX Type : 트랜잭션 타입. 클레이튼의 트랜잭션 타입은 공식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Amount : 트랜잭션을 통해 송금된 양
- TX Fee : 트랜잭션 실행에 대한 수수료
트랜잭션 번호를 누르면 트랜잭션의 세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주소(From -> To)를 눌러 해당 주소의 잔액과 거래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다.
✓ Search
klaytnscope에서는 계정, 컨트랙트, 트랜잭션, 블록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수도 있다.
'블록체인 >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호화폐 시가총액 시세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를 API 형태로 제공하는 Coingecko (0) | 2022.08.03 |
---|---|
KAS (Klaytn API Service) (0) | 2022.08.03 |
이더스캔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 읽기 (0) | 2022.07.28 |
Web3란? (0) | 2022.07.28 |
DID 사용 사례 (0) | 2022.07.26 |
댓글